명상(瞑想)의 일반적인 사전적 의미는 “눈을 감고 고요히 생각함. 또는 그런 생각”, “고요한 가운데 눈을 감고 깊이 사물(事物)을 생각함. 또는 그런 생각”, “고요히 사색에 잠김” 등 이다.
두산백과에서 명상은 “마음을 자연스럽게 안으로 몰입시켜 내면의 자아를 확립하거나 종교 수행을 위한 정신집중을 널리 일컫는 말”이라고 되어있고,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에서 명상은 “집중, 사색, 추상 등 여러 방법으로 이루어지는 사적인 예배나 정신훈련”으로 되어있다.
종교학대사전과 한국사전연구사에 나와 있는 명상은 “마음을 정결히 해서 신에게 기도하고, 마음을 한 곳에 집중하는 것, 동양에서는 힌두교, 불교, 도교 등의 수행법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고, 서구어로는 콘템플라티오(contemplatio), 메디타티오(meditatio, 모두 라틴어)에 해당하며, 그것을 번역해서 묵상(黙想), 관상(觀想)이라고 한다.”고 되어 있다.
명상을 보다 체계화 하고 실천해 온 인도에서는 명상의 개념을 ‘드야나(dhyāna, 산스크리트어)’로 표기한다. 이는 ‘생각하다’는 뜻에서 유래한 말이지만 인도민족은 생각의 차원에서 그치지 않고 생각을 끊는 데까지 발전시켰다. 나아가 존재의 본질을 깨닫고 아무런 왜곡이나 집착이 없는 마음 상태의 삶을 사는 방법으로서의 의미를 갖고 있다.
한편 불교가 중국으로 전래되면서 ‘드야나'라는 용어가 한문으로 번역됨에 따라 음차(音借)되어 한자음으로 ‘선나(禪那)'가 되었고, 이것이 줄어들어 결국 ‘선(禪)'이 되었다(선이 중국에서는 ch´an으로, 한국에서는 seon, 일본에서는 zen으로 발음된다). 그러므로 명상의 방법론에서는 차이가 있을 수 있지만, 명상이나 선은 어원적인 면에서는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선(禪)은 인도의 불교사상에 중국의 실용주의적 성격과 노장사상이 조화를 이루어 만들어진 것으로 인도불교의 명상법이나 깨달음과는 차이가 있다. 선의 특징으로 불립문자(不立文字), 단도직입(單刀直入), 돈오사상(頓悟思想) 등이 있다. 선은 마음을 고요히 하고 생각을 깊게 하여, 모든 사물을 올바르게 보고, 생각하고, 행하는 사람이 되는 수행으로 진리에 도달하는 길이라고 할 수 있다.
서구에서 명상은 ‘meditation’으로 표기하는데, 이는 ‘medicine’과 어간(medi)이 동일하다. ‘medi’는 라틴어의 ‘mederi(치유하다, 고치다, 수정하다)’에서 나왔으며, ‘mederi’는 인도-유러피안 언어의 ‘measure(측정하다, 알아차리다)’라는 뜻에서 유래했다. 따라서 영문으로 명상은 ‘알아차리다, 치유하다’ 등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예전의 명상의 세계는 심오한 세계였으며 효과도 알 수가 없었고 종교와 직결되었기에 항시 신비에 쌓여있었다. 이에 비하면 현재는 과학이 발달하여 명상도 탈신비화 하였으며 점차 과학적으로 증명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최근 구미에서는 명상법이 심신의 긴장을 완화시키고 안정을 가져다주는 효과가 있다는 것을 밝히는 논문이나 실험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이에 따라 많은 의사들이 환자에게 여러 명상법을 권장하기도 하고 기업체에서 사원들의 작업능률 향상과 원만한 인간관계를 위하여 명상법을 권장하기도 한다. 이러한 추세는 우리나라도 마찬가지이다.
이처럼 명상은 우리가 행복한 삶을 영위하도록 하는데 즉, 웰빙에 도움을 주는 것이다. 과거 종교인이나 수행자들을 통해 전수되어 일반인들이 접하기 어려웠던 명상이 세상에 널리 보급되고 있고, 서적과 인터넷을 통해서 많은 정보들이 공유되고 있다. 과학의 발달로 그 효과가 입증되고 있으며 최근 대체의학의 한 분야로 자리매김하였다. 미신, 신비주의의 명상이 아닌 대중 속에서 대중과 함께하는 명상으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는 것이다.
국내외에서 발표된 명상을 응용한 치료효과를 보면 암, AIDS, 심장병, 류마티스 관절염, 면역장애, 건선과 같은 증상들이 유의미하게 감소되었고, 스트레스, 만성통증, 불안장애, 공황장애, 뇌손상, 수면장애, 식사장애 등에서 유의한 효과를 거두었다고 보고되었다.
미국 하버드 의대 허버트 벤슨(Herbert Benson) 박사는 환자들의 75%가 심신의학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하였고, 나머지 25%도 심신요법으로 더 큰 치료효과를 거둘 수 있다고 한 것을 볼 때 그 활용도는 무궁무진하다 할 수 있다.
[참고문헌]
- 국내 마음챙김 명상의 임상논문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양영필)
- 국내 명상의 실태 조사(정유창)
- 명상 길라잡이(박석)
- 명상의 세계(정태혁)
- 한국명상과 영가무도(정유창)